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남깁니다.

연말인데 올해 계획을 잘 마무리 짓고 계신가요? 


오늘은 iOS의 퍼미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iOS10부터는 퍼미션 항목을 빼먹으면 검사 후 아예 아이튠즈에 안 올라가고, 바로 추가해 달라고 등록된 메일이 옵니다.

앱을 만들다보면 퍼미션을 까먹고 사진을 불러온다던가 위치를 알아올때 왜 안 가져오지 하면서 구글 검색을 하기 마련입니다. (아닌가요..?ㅎㅎ) 

퍼미션 종류와 info.plist에 들어가는 이름입니다.


  • (블루투스)Bluetooth Sharing – NSBluetoothPeripheralUsageDescription 
  • (달력)Calendar – NSCalendarsUsageDescription
  • (전화 관련)CallKit – NSVoIPUsageDescription
  • (카메라)Camera – NSCameraUsageDescription
  • (연락처)Contacts – NSContactsUsageDescription
  • (건강)Health – NSHealthShareUsageDescription & NSHealthUpdateUsageDescription
  • (홈킷)HomeKit – NSHomeKitUsageDescription
  • (위치)Location – NSLocationUsageDescription, NSLocationAlwaysUsageDescription, NSLocationWhenInUseUsageDescription
  • (미디어 라이브러리)Media Library – NSAppleMusicUsageDescription
  • (마이크)Microphone – NSMicrophoneUsageDescription
  • (모션)Motion – NSMotionUsageDescription
  • (사진, 앨범)Photos – NSPhotoLibraryUsageDescription
  • (미리알림)Reminders – NSRemindersUsageDescription
  •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 NSSpeechRecognitionUsageDescription
  • (시리킷)SiriKit – NSSiriUsageDescription
  • (TV 프로 바이더)TV Provider – NSVideoSubscriberAccountUsageDescription


까먹지 말고 추가해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마지막까지 계획하신거 잘 마무리 하시고 2017년을 맞이하는 개발자가 되었으면 합니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XCode 8 버전 부터 OS_ACTIVITY_MODE가 추가 되었습니다.

os의 시스템관련 로그를 쭉 출력 해주는 모드인데 너무 많이 찍혀서 정작 

제가 개발을 하면서 출력하는 로그는 하나도 볼 수 없다는 단점있습니다.

안보이게 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1. product -> Scheme -> edit scheme -> environment Variables


2. environment Variables에 +클릭해서


3. Name 값에 OS_activity_mode 

    Value 값에 disable 


넣어 주시면 됩니다. 그럼 더이상 시스템 로그는 출력되지 않습니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iOS 개발을 하다보니깐 XCode를 가지고 개발을 합니다. 

회사 프로젝트라던지, 개인 프로젝트라던지 가끔 엉뚱하게도 "내가 짠 코드는 과연 몇줄일까??" 라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ㅎㅎ (저만 그런건가요,,)


일단 터미널을 열고 라인 수를 보고자하는 프로젝트 폴더로 cd 명령어를 쳐서 들어갑니다.

cd를 치시고 한칸 뛴다음 폴더를 끌어 넣고 엔터를 치면 폴더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됩니다. (저는 잘 몰라서 일일히 찾아서 들어갔습니다.)


이제 그런후 밑에 명령어를 복사 붙여 넣기 하시면 됩니다.


Swift 만 사용 하셨다면

1
find . \( -iname \*.swift \) -exec wc -l '{}' \+
cs


Objective-C만 사용 하셨다면

1
find . \( -iname \*.m -o -iname \*.mm -o -iname \*.h \) -exec wc -l '{}' \+
cs


Swift와 Objective-C를 혼용해서 사용 하셨다면

1
find . \( -iname \*.m -o -iname \*.mm -o -iname \*.h -o -iname \*.swift \) -exec wc -l '{}' \+
cs


그리고 마지막으로 

Swift + Objective-C + C + C++

1
find . \( -iname \*.m -o -iname \*.mm -o -iname \*.c -o -iname \*.cc -o -iname \*.h -o -iname \*.hh -o -iname \*.hpp -o -iname \*.cpp -o -iname \*.swift \) -exec wc -l '{}' \+
cs


이렇게 명령어를 치시면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 목록들이 나열되면서 마지막에 total 값으로 라인수가 나옵니다.


제가 Project9팀에 있을때 했던 프로젝트 결과값입니다. 3만5천 줄로 나오네요. 

아무래도 Pod나 framework도 포함 되다 보니깐 조금 과장되서 나오는 것도 없진 않지만 그래도 가끔 얼마나 길까 하면서 

알아볼때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것 같습니다.



출처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7224569



'프로그래밍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or Scripter (코드를 블로그에 올리기)  (0) 2015.11.18
앱 개발에서의 권한 문제  (0) 2015.11.18

+ Recent posts